2023-11-14 월가에셋 매매전략표
미국 증시는 테슬라발 전기차주 강세에도,, 무디스의 신용등급 전망 하향, CPI 경계심리 등으로 혼조세 마감
금일 밤 발표 예정인 10월 미 CPI, 컨센서스 레인지가 이전에 비해 좁아졌다는 점이 잠재적인 변동성 유발 요인
국내 증시도 반등 예상되나, CPI 경계심리, 공매도 발 수급 변동성 등으로 상단 제한될 전망
밸류에이션 부담을 가했던 10년물 금리 상승 이슈를 놓고, 현재 시장에서는 지난 10월 중 터치했던 5.0%가 고점이었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조성 중.
예상보다 덜 매파적이 었던 11월 FOMC를 거치면서 이 같은 인식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그럼에도 시장이 계속 경험해온 것처럼, 그때 그때 발표되는 인플레, 고용 등 통화정책과 관련된 데이터에 따라 금리 및 주가가 가변성을 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
이런 이유로 금일 밤 예정된 미국의10월 CPI 결과가 12월 FOMC까지의 증시 방향성에 영향일 미치는 주요 변수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
10월 CPI 컨센서스는 헤드라인이 3.3%(YoY, 최고 3.4%, 최저 3.2%)로 9월(3.7%)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코어는 4.1%(YoY, 최고 4.2%, 최저 4.0%)로 9월(4.1%)과 동일할 것으로 형성.
연준은 갈 길이 멀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긴 하지만, 인플레이션의 하락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증거들을 찾아볼 수 있음.
가령, 9월 헤드라인 CPI 쇼크를 유발했던 요인이자 중동 전쟁으로 100달러 이상의 레벨 상승이 일어날 줄 알았던 WTI 유가는 현재 80달러 넘지 않고 있음.
10월 맨하임 중고차 가격 지수도 전년대비(YoY) -4.0%, 전월대비(MoM) -2.3%로 마이너스 영역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10월에도 인플레이션의 레벨 다운 추세는 훼손되지 않을 전망.
결국 작년에 시장이 인플레로 어려움을 겪었던 것과는 달리, 인플레이션이라는 재료는 향후 증시에서 “부정”보다는 “중립” 혹은 “중립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
다만 이번 CPI결과치와 관련해 시장 컨센서스의 레인지가 이전보다 좁아졌다는 점은 고민할 필요가 있음(헤드라인 3.2~3.4%, 코어 4.0~4.2%).
특정 지표 이벤트에 대한 주가 변화는 컨센서스 상회/하회 여부에 일시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것이 증시의 특성이기 때문.
따라서, 컨센 레인지가 좁다는 것은 실제 결과치가 컨센을 벗어날 확률이 이전보다 높아졌다는 점을 시사하는 만큼, 이번 10월 인플레이션 발표 후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 확대는 대비할 필요.
금일에는 달러화 약세, 11월 수출 호조(~10일, +3.2%YoY), 미 공적연금의 지분 매입 및 인도의 외국산 관세인하 기대감 발 테슬라(+4.2%) 등 미국 전기차주 강세와 같이 우호적인 재료가 상존함에도, 미 CPI 경계심리, 공매도 금지 발 수급 변동성으로 인해 증시 상승 탄력이 제한되는 주가 흐름을 보일 전망.
#해외선물 #주식 #주식공부 #해외선물공부 #주식강의 #해외선물강의 #미국주식 #테슬라